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74

[메르시아의 별] 중편 캠페인 후기 by 애스디 지난 2월부터 넉 달 가량 진행한 [메르시아의 별] 중편 ORPG 캠페인을 어젯밤에 마쳤습니다. 총 11번 모임(준비 세션 2회, 플레이 9회)을 가졌고요. 자세한 내용은 팀블로그(http://fatecore.tistory.com)를 참고해주세요. 1. 플레이 요약 - 캠페인 시트 링크 지방 이름은 메르칸디아로, 과거 마법으로 세계를 제패했다 도시국가로 쪼그라든 코린토스, 풍요로운 땅을 안은 긍지 높은 공화국 오리움, 떠돌이 여행자와 상인의 나라 암플렉타, 거대 광산을 끼고 발달한 공업국 페룸 왕국이 자리했습니다. 초반의 무대는, 제국의 압제 아래서 마동병기 생산기지로 전락한 페룸이었고요. 여기서 제국의 거대 마동병기 제작을 저지하던 중, 지하의 고대 드워프 왕국 유적을 발견합니다. 바로 제.. 2015. 6. 21.
초보자를 위한 D&D 시리즈 가이드 by 애스디 던전 앤 드래곤 (Dungeon & Dragons, D&D) 시리즈는 가장 역사가 오랜 TRPG 시스템이기도 하고, 우리나라에서도 초보자를 비롯해 많은 사람들이 찾는 시스템이지요. 하지만 D&D 3판/4판/5판과 패스파인더 RPG 등 판본이 많아서 관련정보를 찾기도 쉽지 않은 점이 있습니다. 여기선 초보자분들을 위해 D&D 주요 판본을 소개/비교하고 관련 자료를 어떻게 찾아보면 될지 알려드릴게요. (참고: 나무위키의 D&D 판본별 링크) 1. D&D 시리즈의 변천사 D&D의 제작자 개리 가이각슨이 세운 TSR 출판사에서는 초급자/소년용의 D&D와 상급자용의 AD&D (Advanced Dungeons and Dragons)을 병행해 출간했습니다. 90년대 중반 한국에 출간된 D&D 클래식은 이.. 2015. 6. 19.
마스터링의 기본 원리: 플레이가 정체되지 않으려면. by 애스디 마스터를 따로 두는 TRPG 시스템에서, 마스터의 기본 역할은 "PC가 행동할 극적인 상황을 내놓는 것"입니다. 플레이어는 여기에서 자기 PC가 어떻게 행동할지 선언하고, 마스터는 그 행동이 어떤 결과로 이어지는지 서술하는 식으로 플레이가 진행됩니다. 플레이어가 PC를 움직여 행동에 나서지 않는다면 플레이는 더이상 진행되지 않고 멈춰버릴 것입니다 (혹은 마스터 혼자 일방적으로 진행시켜가는 이야기가 되든가요). 여기서는 플레이를 진행하며 각 장면을 내놓을 때 유의해야 할 기본사항을 짚어보겠습니다. 특히, 플레이가 원활히 흘러가지 않고 정체될 때, 그 이유를 이해하고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1. PC가 움직일 동기가 있어야 한다. PC들이 주도적으로 움직이면서 플레이가 진행되기 위해선.. 2015. 6. 15.
마스터를 이해하는 관점: 대적자 vs. 연출가. by 애스디 TRPG가 다양하게 발전하면서, 마스터가 맡는 역할도 여러가지로 변해왔습니다. 마스터가 어떤 역할인지에 대해서 사람마다 시스템에 따라 제각각 다양한 견해가 있고요. 여기서는 D&D로 대표되는 고전적 모험물부터 출발해 마스터의 역할에 대한 여러 관점을 다루려 합니다. 1. 마스터의 기본 역할: "세계"를 담당한다. 마스터를 두는 RPG 시스템에서 마스터와 플레이어의 근본적인 구분은, 플레이어는 한 명의 PC만을 맡고, 마스터는 "나머지 세상 전부를 맡는다"는 점입니다. 마스터는 PC들이 행동할 흥미로운 상황을 제시하고, 플레이어들의 선언을 받아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를 정합니다. 이렇게 PC의 행동(플레이어의 선택)을 처리하기 위해서, 배경세계와 시나리오를 준비하고 룰을 적용하는 것입니다. 마스.. 2015. 6. 15.
캐릭터 설정이 생명력을 가지려면... by 애스디 오랜만의 글이네요. 오늘은 "어떻게 해야 TRPG 플레이에서 캐릭터 설정이 의미를 갖고 살아날 수 있는가" 라는 주제를 다뤄보려 합니다 (사실 초여명 출판사의 김성일님이 늘 하던 얘기의 반복입니다). 1. 플레이 속에 나오지 않는 설정은 죽은 설정이다. 일전에 [RPG에 좋은 캐릭터는 이래야 한다] 시리즈에서, RPG에 좋은 캐릭터는 실제 플레이에서 잘 활용되는 캐릭터라고 얘기한 적이 있지요. 캐릭터 설정도 마찬가지입니다. 플레이 속에서 의미를 갖고 나타나는 설정이어야, 좋은 설정입니다. 아무리 공들이고 멋진 설정이라도 플레이 속에서 나오지 않는다면, 죽은 설정입니다. RPG에선 의미가 없는 설정입니다. 뒤집어 이야기하면, RPG에선 플레이 속에서 드러나고 부각되는 설정에 주목해야 합니다. .. 2015. 6. 3.
RPG 캐릭터의 능력 배분: 전투, 사회, 기술 by 애스디 RPG 캐릭터들은 플레이에서 다양한 문제 상황을 마주하고 이를 풀어나가게 됩니다. 따라서 플레이에서 주어지는 장애물(인카운터)를 적절히 해결할 "능력"을 갖춰야 합니다. PC들이 팀으로 함께하는 모험물에서는, 각 캐릭터가 이렇게 장애물을 돌파할 능력을 어떻게 분담할 것인가가 매우 중요합니다. D&D나 던전월드 등 환타지 모험물 RPG는 주된 인카운터가 뚜렷할 뿐만 아니라, 클래스(직업)를 통해 캐릭터별 역할과 능력을 룰에서 나눠두고 있습니다. 그러나 GURPS, 새비지 월드, 페이트 코어 등의 범용 RPG에선 이런 역할 분담이 임의적입니다. 그러다보니 자기 인물을 꾸미는 데만 몰두해, 정작 플레이에서 필요한 능력을 놓치는 경우도 있잖은가.. 라는게 문제의식입니다. 한마디로 어떻게 해야 플레이.. 2015. 4.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