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74 뉴비들앙! 던전월드부터 해보자! by 프르르 원글 링크: 입문편 http://sogam205.dothome.co.kr/xe/orpgguide/19113 (by 프르르)기본편 http://sogam205.dothome.co.kr/xe/orpgguide/19193 (by 프르르) ORPG 인력사무소의 프르르님이 쓰신 던전월드 입문 강좌입니다. 이렇게 연이어 좋은 글을 소개해드릴 수 있게 되어 기쁘네요 (허락해주신 프르르님께 감사 말씀 올립니다). 입문편은 던전월드를 처음 하려는 분을 대상으로, 1. 서문 - 입학 전에 준비물을 챙기자! - 던전월드 룰을 어디부터 찾아보면 되는지, - 세션 구하기와 플레이어로서의 마인드. 2. 세션이 시작되기 전까지 배울 것들과 할 일들. - RPG의 개념 세팅과 기호의 활용. - 캐릭터 메이킹. - 캐릭터 소개하기.등.. 2015. 8. 20. 당신의 캐릭터를 어디까지 책임져야 하는가 (by 라이스미스) by 라이스미스(@Karaghiozis) 예전에는 TRPG를 하면서 캐릭터로 하고 싶은 것과, 실제로 내가 연출할 수 있는 것의 괴리가 크더라도 해볼만 하다고 생각했다. 최근에는 생각이 바뀌었다. 그것은 결국 내 몫을 남에게 떠넘기거나 아니면 쓰레기통에 투척하는 행위에 지나지 않는 것 같다. 물론 TRPG 플레이어가 캐릭터와 동일한 기능이나 지식을 가져야 할 필요는 없고 대부분 불가능하기도 하다. 그러나 선언을 통한 연출은 전혀 다른 문제다ㅡ그것은 작가나 각본가, 영상 감독, 때로는 게임 디자이너의 영역에 가깝다. 당신의 캐릭터가 마법사라고 당신이 직접 손에서 파이어볼을 쏠 줄 알아야 할 필요는 없지만, 파이어볼이 어떻게 생겼고 날아가서 폭발할 때 어떤 일이 일어날지는 "상상할 줄 알아야" 한다. 그리고.. 2015. 8. 17. [RPG 클리닉] 6월~7월 질의응답 모음. by 애스디 애스크픔(구 Ask.fm/the_rpgist)에서 그간 들어온 질문/답변 사례 중 선별해 소개합니다. 대부분 애스크픔 개설 초기에 들어온 질문이에요. 이후로도 애스크픔이 활성화되면 간간히 유익한 내용을 모아 올려볼게요. (새 주소는 http://ask.fm/rpgist : 계정을 등록해야 하지만 질문은 익명으로 가능합니다. 혹 공개를 꺼리는 내용이라면 따로 메일로 연락주셔도 좋습니다. rpgist@naver.com) [RPG 팀 운영 및 상담] Q. 마스터가 플레이어와 상의 없이 일방적으로 캠페인을 종료했습니다. 초보 마스터링이셨는데도 팀원 이야기를 듣지 않고 세션 전체를 통제하셔서 캠페인 전개 방식에 대해 플레이 내 외로 팀원의 피드백이 오랜 기간 지속되었는데요. 마스터링에 대한 간섭을 하.. 2015. 8. 15. 룰을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 문제상황별 해법. by 애스디 TRPG를 하다보면 종종 룰에 얽힌 문제와 갈등이 일어나곤 합니다. 여기서는 TRPG 룰을 어떻게 활용할지의 원칙과, 룰에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다루려 합니다. 1. TRPG 룰의 활용 원칙. RPG 룰은 즐거운 "플레이"를 만들기 위한 도구에 가깝습니다. 다른 게임처럼 그 자체로 완결된 규칙이 아니기 때문에, RPG 룰은 플레이 중에 일어나는 문제를 해결하는 절대적 기준으로 삼을 수 없습니다. 다시 말해 RPG 룰은 플레이 중에 필요하다면 변용하거나 무시할 수 있습니다. 허나 룰을 지나치게 경시하는 것도 문제입니다. 각각의 TRPG 룰은 일정한 스타일의 플레이를 지원하기 위해 잘 고안된 체계이기 때문입니다. RPG 룰을 이해하고 적용하는 데 있어 제가 갖는 원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2015. 8. 13. [시나리오] "피의 대리전" (GURPS 헌터들의 밤) by 애스디 제1회 TRPG 시나리오 컨테스트 링크 "피의 대리전"은 [GURPS 헌터들의 밤] 용으로 만든 단편 시나리오입니다. 미국의 중소도시를 배경으로 뱀파이어를 뒤쫓는 전형적인 현대 배경의 괴물 사냥 이야기이고요. [헌터들의 밤]의 400CP 정규 캐릭터 3인 혹은 200CP 조수 캐릭터 4~5인으로 플레이하기에 적당합니다. 데이터 외의 구성 자체는 「Dawn of FATE」 등 다른 시스템으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일일 플레이 행사 때 TRPG로 돌리기론 약 6시간 정도가 걸렸고요. ORPG로는 3회에 걸쳐 진행했었습니다. - 시나리오 문서 (내용은 모두 같으니 편한 쪽으로 받으면 됩니다): - 캐릭터 시트: 2015. 8. 12. 가오나시의 [페이트 코어] 마스터링 가이드 ORPG 인력사무소의 가오나시님이 쓰신 [페이트 코어] 마스터링 가이드입니다 (원 출처 링크). 페이트 코어 시스템의 핵심과 특징을 잘 잡아내면서 마스터링에 대한 훌륭한 조언을 담고 있습니다. TheRPGist에 싣도록 허락해주시고 군 휴가로 나온 중에 다시금 글을 다듬어주신 가오나시님께 깊은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 by 가오나시 ※본 글은 페이트 코어 시스템으로 GM을 보고 싶어서 룰북도 읽어 봤는데 어디부터 손을 대야 할 지 몰라 우왕좌왕하는 초보 페이트 GM 분들을 위해 제작된 가이드입니다.사전에 룰북을 읽으신 걸 가정하고 설명해드리고 있으니, 아직 룰북을 읽지 않으신 GM지원자 분이 있다면 페이트 코어 룰북을 한 번 정독하고 오시는 걸 부탁 드리는 바입니다....0. 들어가기에 앞서...... .. 2015. 7. 25. 이전 1 ··· 4 5 6 7 8 9 10 ··· 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