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스터링 강좌9 TRPG 플레이 진행의 3가지 방식. 이 글에선 제가 TRPG를 하면서, 플레이를 준비하고 진행하는 방식이 어떻게 바뀌어왔는지를 얘기해보려 합니다. "게임 시나리오"식의 고전적 방식, 열린 전개를 중시하는 "피드백 마스터링", 그리고 사전설정을 최소화하는 "합의에 의한 플레이"의 3가지 방식으로 나누어 보려 해요. 1. 고전적인 TRPG 시나리오 작법: "게임" 만들기. 제가 처음 TRPG를 접하고 마스터링을 하던 시절엔, 시나리오를 짤 때 일종의 "컴퓨터 게임을 만든다"는 감각으로 임했습니다. 어릴 때부터 게임으로 만들면 좋을만한 구상을 노트에 잔뜩 써두기도 했었거든요. RPG 쯔꾸르 같은 툴로 만들 수도 있었겠지만 그에 비해 TRPG는 그래픽/사운드 작업 부담 없이 스토리랑 전투 데이터만 갖추면 되니, 게임 제작의 욕구를 충족하는데 훨씬.. 2016. 2. 12. ORPG 팀의 기획과 운영에 대하여. by 애스디 안넥스칸님의 초보 OR 마스터를 위한 어드바이스를 보고, 저도 생각해오던 것 몇 가지를 정리해보려 합니다. 지난 [초보자를 위한 ORPG 가이드]는 플레이어로서 참여를 위한 가이드지만, 이번 글은 마스터로서 OR 팀을 운영할 때에 초점을 맞추었습니다. "ORPG 환경"에서 생기는 문제와 난점을 짚고, 이를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가의 얘기입니다. 1. ORPG 팀의 난점: 쉽게 모인 만큼, 쉽게 흩어진다. ORPG의 가장 큰 장점은 시공간의 제약을 벗어나 "접근성이 좋다"는 것이고, 가장 큰 단점은 역으로 "쉽게 모인 만큼 쉽게 깨진다"는 겁니다. 냉정하게 말해 서로 '인터넷에서 만난 사람'일 뿐이에요. 그런 관계에 어떤 구속력과 책임감을 기대할 수 있겠습니까. 즐거운 RPG 플레이를 위해서 함.. 2015. 8. 23. 룰을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 문제상황별 해법. by 애스디 TRPG를 하다보면 종종 룰에 얽힌 문제와 갈등이 일어나곤 합니다. 여기서는 TRPG 룰을 어떻게 활용할지의 원칙과, 룰에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다루려 합니다. 1. TRPG 룰의 활용 원칙. RPG 룰은 즐거운 "플레이"를 만들기 위한 도구에 가깝습니다. 다른 게임처럼 그 자체로 완결된 규칙이 아니기 때문에, RPG 룰은 플레이 중에 일어나는 문제를 해결하는 절대적 기준으로 삼을 수 없습니다. 다시 말해 RPG 룰은 플레이 중에 필요하다면 변용하거나 무시할 수 있습니다. 허나 룰을 지나치게 경시하는 것도 문제입니다. 각각의 TRPG 룰은 일정한 스타일의 플레이를 지원하기 위해 잘 고안된 체계이기 때문입니다. RPG 룰을 이해하고 적용하는 데 있어 제가 갖는 원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2015. 8. 13. 단편 시나리오를 어떻게 준비할까? by 애스디 그간 애스크픔(ask.fm/the_rpgist)에서 단편 플레이를 어떻게 준비하고 운영할까에 대한 질문이 많이 들어왔습니다. 여기선 단편 시나리오를 어떻게 준비하고 운영하면 좋을지, 제 나름의 해법을 얘기해보려 합니다. * 참고하면 좋은 글: RPG 연구실 9회 - 단편 시나리오의 특징과 의의 1편 / 2편. 1. 시나리오를 얼마나 준비할 것인가? 여기서 이야기하는 단편 플레이는 말 그대로, TRPG 모임 한 번(세션 1회)으로 완결되는 플레이를 말합니다. 특히 기승전결의 구조와 완결성을 갖춘 플레이를 위해 마스터가 시나리오를 준비해오는 경우를 가정합니다. 그냥 즉흥적으로 가볍게 놀고 이야기의 완결성에 크게 연연하지 않는다면 별 고민할 게 없겠지요. 던전월드의 [첫 세션]도 이런 식의 가벼운.. 2015. 6. 30. 마스터링의 기본 원리: 플레이가 정체되지 않으려면. by 애스디 마스터를 따로 두는 TRPG 시스템에서, 마스터의 기본 역할은 "PC가 행동할 극적인 상황을 내놓는 것"입니다. 플레이어는 여기에서 자기 PC가 어떻게 행동할지 선언하고, 마스터는 그 행동이 어떤 결과로 이어지는지 서술하는 식으로 플레이가 진행됩니다. 플레이어가 PC를 움직여 행동에 나서지 않는다면 플레이는 더이상 진행되지 않고 멈춰버릴 것입니다 (혹은 마스터 혼자 일방적으로 진행시켜가는 이야기가 되든가요). 여기서는 플레이를 진행하며 각 장면을 내놓을 때 유의해야 할 기본사항을 짚어보겠습니다. 특히, 플레이가 원활히 흘러가지 않고 정체될 때, 그 이유를 이해하고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1. PC가 움직일 동기가 있어야 한다. PC들이 주도적으로 움직이면서 플레이가 진행되기 위해선.. 2015. 6. 15. 마스터를 이해하는 관점: 대적자 vs. 연출가. by 애스디 TRPG가 다양하게 발전하면서, 마스터가 맡는 역할도 여러가지로 변해왔습니다. 마스터가 어떤 역할인지에 대해서 사람마다 시스템에 따라 제각각 다양한 견해가 있고요. 여기서는 D&D로 대표되는 고전적 모험물부터 출발해 마스터의 역할에 대한 여러 관점을 다루려 합니다. 1. 마스터의 기본 역할: "세계"를 담당한다. 마스터를 두는 RPG 시스템에서 마스터와 플레이어의 근본적인 구분은, 플레이어는 한 명의 PC만을 맡고, 마스터는 "나머지 세상 전부를 맡는다"는 점입니다. 마스터는 PC들이 행동할 흥미로운 상황을 제시하고, 플레이어들의 선언을 받아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를 정합니다. 이렇게 PC의 행동(플레이어의 선택)을 처리하기 위해서, 배경세계와 시나리오를 준비하고 룰을 적용하는 것입니다. 마스.. 2015. 6. 15.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