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74

던전월드로 TRPG를 시작해보자! [던전월드]로 TRPG를 처음 시작해보려는 초보자를 위한 가이드입니다. 처음 시작하는 분들이 어떤 걸 보고 무얼 준비해야 하나를 담고자 했습니다. TRPG 입문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은 [초보자 Q&A]를 참고해주세요. 1. 던전월드는 어떤 룰인가요? 던전월드는 클래식 D&D식의 판타지 모험물을 이야기와 서술 중심으로 풀어가는 TRPG입니다. 전사, 도적, 마법사, 사제, 성기사, 사냥꾼, 드루이드, 음유시인 같은 직업 중 하나를 골라 캐릭터를 만들게 됩니다. 판타지 모험물 RPG 중에선 규칙이 간단한 편이고, 룰 전체가 CCL로 공개되어 있어 접근성이 좋습니다. 1레벨로 시작해 10레벨까지 성장하지만 데이터 상 변화는 적고, 그보다 이야기 면의 연출에 초점을 두고 있습니다. 한편 스토리(시나리오)를 미리.. 2018. 12. 10.
국내 출간 중인 TRPG 일람 국내에서 출간 중인 TRPG 시스템을 장르별로 정리했습니다. (2018-11-15 기준) 절판된 작품 및 출간예정작은 분량상 생략했습니다. 수정할 점 알려주시면 업데이트할게요. 1. 범용룰: 다양한 장르와 배경을 커버하는 시스템입니다. 룰북의 내용을 활용해 자기가 원하는 플레이를 구현하는 도구상자에 가깝습니다. 이를 돕는 장르별 보조자료도 많이 쓰입니다. GURPS 국문2판 (도서출판 초여명, 2004)- 기본룰: 캐릭터북+캠페인북 - 보조자료(월드북): 무한세계, 실피에나- 보조자료(장르북): 던전판타지, 헌터들의 밤, 호러, 판타지, 추리와 수사.- 보조자료(소스북): 초상능력, 마법, 무예 뛰어난 범용성과 상세한 룰이 특징이며, 기본세트 2권에 각종 서플리먼트를 덧대어 쓰는 식입니다. 정교하고 섬세.. 2018. 11. 16.
[던전월드] 매력 판정으로 상황 모면하기 의뢰인을 꾀어내어 죽이고 돈만 뺏고서 현장을 벗어나려 했으나 너무 늦어 얼마 못가 경비병과 부닥치고 말음. 손에 묻은 피를 보고 의심하는 경비병을 매력으로 꼬셔서 그냥 지나가게 할 수 있음?? TRPG 마이너갤러리에서 위와 같은 이슈가 나와서 살펴볼게요. 결론만 말하자면 매력 판정으로 처리 가능합니다. 중요한 것은, "이야기에서 시작해서 이야기로 끝낸다"는 원칙을 지키는 것입니다. 의심하는 경비병에게 무엇이라고 말해서 넘기려 하는지? 플레이어가 무작정 "매력 판정 할게요!"라고만 선언하게 두지 마세요. 구체적으로 무슨 말을 하고 어떻게 꾀어 넘기려는지 물어보세요. 이야기 속 내용에 따라 아마 [위험 돌파] 액션 (혹은 [협상] 액션)이 될 것 같습니다. 1. [위험 돌파] 액션 즉각적인 위험을 감수하고 .. 2018. 11. 6.
RPG의 본질 = 참여형 구비문학 놀이 TRPG의 본질은 "대화를 통해 인물을 움직이며 이야기를 진행한다"입니다. 플레이에서 전투가 한 번도 안 나올 수도 있고, 주사위 굴림이 한 번도 없는 것도 가능하지만 (정식 룰을 쓰는 경우에도요), 대화와 이야기가 없는 플레이는 없습니다. TRPG는 언어에 기반한 이야기 매체이자 유희인 것이지요. TRPG를 게임이나 즉흥극(소꿉놀이)에 비추어 분석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언어를 매개로 한다는 점에서 TRPG의 문학성도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저는 TRPG를 민담, 괴담과 같은 '구비문학' 장르로 이해해보는 게 어떨까 싶어요. 제가 문학도는 아닌지라, 아래 내용은 저의 제한된 이해에 바탕한 썰임을 밝혀둡니다. 1. 구비문학으로서의 현장성 TRPG 플레이의 큰 특징은 플레이에 같이 참여한 사람만이 느끼고 공.. 2017. 12. 27.
아포칼립스 월드 엔진(AWE)의 디자인 철학. 빈센트 베이커의 [아포칼립스 월드]는 [던전월드]를 비롯해 다양한 아포칼립스 월드 엔진(AWE) 룰의 시초가 되었습니다. AWE가 다른 시스템과 다른 특별한 점은 무엇일까요? 여기선 제가 생각하는 AWE의 디자인 철학을 꼽아보려 합니다. 1. AWE의 핵심 강령: 플레이를 해서 어떻게 되는지 알아낸다. [아포칼립스 월드]의 마스터 강령 3개 중 "이 세계를 사실감 있는 곳으로 만든다.", "캐릭터들의 삶을 지루하지 않게 한다." 는 다른 RPG도 신경쓰는 부분입니다. 하지만 "플레이를 해서 어떻게 되는지 알아낸다."는 AWE만의 차별점이지요. "플레이를 해서 어떻게 되는지 알아낸다"는 것은 빈센트 베이커의 전작인 [포도원의 파수견]에서도 강조하는 부분입니다. [포도원의 파수견]에서도 마스터는 여러 인물이.. 2017. 9. 8.
TRPG의 자유도에 관해서. "TRPG는 플레이어의 무한한 자유가 보장된다"고 환상을 품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여기선 TRPG의 자유도에 관해 살펴보겠습니다. TRPG가 컴퓨터 게임보다 더 자유롭다고 하면 이는 "게임 제작자가 상정해두지 않은 행동과 진행이 가능하다."라는 측면입니다. 컴퓨터 게임에서 시도할 수 있는 행동은, 제작자가 미리 만들어둔 커맨드뿐입니다. 반면 TRPG 플레이에선 원하는 대로 NPC와 자유롭게 대화를 나눌 수 있고 마스터가 예상치 않은 행동도 시도해볼 수 있습니다. 이런 점에서 TRPG는 컴퓨터 게임보다 더 자유롭습니다. 하지만 TRPG이기 때문에 플레이어의 자유가 더 제약되는 측면도 있습니다. TRPG는 팀원 모두가 심상(fiction)을 공유하며 같이 진행하는 놀이이기 때문입니다. 플레이는 모두의 것.. 2017. 7.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