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74

[GURPS 장편] 길드타운 난민대책위원회 by 애스디 는 제가 2008년 4월~10월 동안 총 20회에 걸쳐 진행한 장편 OR 캠페인입니다. 제가 진행한 역대 장편 캠페인 중에서도 가장 성공적이고 재미있었던 플레이입니다. :D 처음에는 지인들과 함께 새로 장편 플레이를 해보자고 모여서 어떤 플레이를 할까 하다가 뭔가 도시를 배경으로 다양한 세력 간의 대립과 갈등, 거기 얽혀드는 인물, 도덕적 딜레마 등이 있었으면 좋겠다고 의견이 나왔습니다. 고민 끝에 실피에나의 길드타운을 배경으로, PC가 "난민대책위원회"로 활동하는 캠페인을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원래 '난민대책위원회'라는 건 실피에나 룰북엔 없는 설정이었는데, PC들의 입장을 단순히 시의회나 난민 측 한 쪽에 쏠리지 않을 수 있게 하자고 해서 이런 기관을 만들게 되었습니다. 결과적으론 PC들.. 2015. 4. 8.
던전월드 마스터 강좌 #3. 세부묘사를 덧붙이기 by 애스디 지난 강좌에선 던전월드 플레이 준비와 운영의 핵심인 [국면]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국면]을 준비하면 플레이의 기본 뼈대는 갖춘 셈입니다. 오늘은 여기에 더해서 플레이의 세부묘사를 어떻게 준비하고 다룰 것인가 하는 얘기를 해볼까 합니다. 1. 환상적인 세계를 표현한다. 던전월드 마스터의 강령 중 첫번째는 "환상적인 세계를 표현한다"입니다. 마스터는 플레이 속에 내놓을 세상에 대해 생생한 이미지를 갖추고 전달해야 합니다. 이런 세상에 대한 심상을 구체적으로 갖추기 위해, 미리 다양한 자료를 접하면서 '자신의 세상'에 대한 이미지를 구체화 해두면 도움이 많이 됩니다. [호빗], [반지의 제왕], [야만인 코난] 같은 판타지 작품도 좋고, [캐러비안의 해적]이나 [인디아나 존스] 같은 모험영화의.. 2015. 4. 4.
RPG는 밴드 활동이다. by 애스디 RPG는 무엇과 가장 닮았을까요? 게임, 연극, 소꿉놀이, 스토리텔링, ... 우리가 알고 있는 많은 유희와 창작 활동에 빗대어 RPG를 설명하려는 시도가 있었지만, 아직도 만족스런 답은 없습니다. 한편, 생각해보면 이렇게 RPG와 비교하는 많은 대상은 모두 스토리를 갖는 유희/창작활동입니다. RPG엔 인물과 배경이 있고 스토리가 있으니까 너무나 당연한 일인지도 몰라요. 하지만 게임/연극/소설/영화 어떤 것도, 여러 사람이 함께 모여 펼치는 RPG의 역동성을 설명하기 어렵습니다. 그러면 이제 눈을 돌려 다른 비유를 찾아봐야 하지 않을까요? [길드타운 난민대책위] 플레이 등을 거치며, 저는 RPG가 다른 무엇보다도 밴드 활동과 비슷하다는 점을 발견했어요. 서로 취미로 모여서 함께 음악하는 그 .. 2015. 4. 2.
TRPG를 하려면 룰북을 꼭 써야 하나요? by 애스디 TRPG를 시작하려는 분들 중에 "TRPG를 하려면 꼭 룰을 익혀야 하나요? 그냥 룰 없이 즉흥적으로 진행하며 놀면 안되나요?" 라는 분들이 종종 있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예! TRPG를 하려면 룰이 꼭 있어야 합니다." * TRPG 룰의 기본 역할: 플레이를 위한 소통의 토대. TRPG는 여러 참가자들이 이야기 속 역할을 나눠 맡고 같은 상상을 공유하며 진행시켜가는 놀이입니다. 룰은 이렇게 이야기 속 역할을 어떻게 배분할 것인지 정하고, 참가자들이 상상 속의 인물과 세계를 공유하기 위한 토대가 됩니다. 룰이 없다면, 모두가 제각각 그리는 상상을 어떻게 일치시킬 지, 이를 다른 참가자와 어떻게 조율하며 진행할지 틀을 갖출 수 없습니다. 가능성이 과다하면 플레이는 불가능합니다. 아.. 2015. 4. 2.
던전월드 마스터 강좌 #2: 국면을 활용하자 by 애스디 지난번에 던전월드에 관한 3가지 오해 - "던전월드는 단편 플레이에 좋은 룰이다", "던전월드 마스터링은 준비를 안해도 된다", "던전월드는 룰을 무시하고 플레이해도 된다" - 를 살펴보았습니다. 이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던전월드 룰북이 말하는 대로 중장편 플레이를 어떻게 준비하고 운영하는가를 다뤄보고자 합니다. 던전월드는 장편 플레이를 준비하고 운영하기 위해 고유의 틀 [국면]을 갖추고 있습니다. [국면]은 PC들의 행동과 선택에 따라 유연하게 대응하면서 이야기를 낳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던전월드가 누누히 이야기를 미리 정해놓지 말라고 하는 건, [국면]이 있기 때문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던전월드 플레이에서 무엇을 준비해야 하고 무엇을 준비하면 안되는 지는 [국면] 규칙을 따르기만 .. 2015. 3. 28.
던전월드 마스터 강좌 #1: 던전월드에 관한 3가지 오해. by 애스디 던전월드가 나온 지도 어느덧 일 년 반이 넘었습니다. 그동안 던전월드로 RPG를 시작하는 사람들이 참 많이 나왔지요. 한데 주변을 보면, 던전월드로 장편 캠페인을 성공적으로 마치는 팀은 드물고, 개그와 드립 위주의 단편 플레이가 많은 듯한 인상입니다. 더불어 던전월드를 하는 이들 중에서 종종 매너리즘이나 한계를 느끼는 분들도 제법 있는 듯 하고요. 던전월드가 원래 쉽게 질리는 시시한 룰인 걸까요, 아니면 우리가 던전월드를 제대로 플레이하지 않은 걸까요? 여기선 던전월드 플레이에 대해 갖기 쉬운 세 가지 오해를 살펴보고 이를 부숴보고자 합니다. 1. 던전월드는 단편 플레이에 좋은 룰이다. 첫번째 오해는 “던전월드는 단편, 특히 즉석 플레이에 좋은 룰이다” 입니다. 던전월드가 쉬운 룰이고, 즉석.. 2015. 3. 28.